환경부에서 2024년 전기차 보조금을 발표했습니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조금을 개편하여 차량 가격, 주행거리, 충전 속도 등을 고려한 성능 기반 지원방식으로 전환했습니다. 오늘은 2023년 대비하여 달라진 보조금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 차종별 보조금 지원금과 지자체별 보조금 지원금을 한번에 알아볼수 있습니다.
1.전기차 보조금 지원금액
- 우리가 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은 지자체 보조금 제외 최대 650만원 입니다.이는 지난해 680만원 보다 30만원 줄어든 650만원으로 책정됬습니다.
- 보조금 전액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 가격은 지난해 5700만원에서 5500만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 차량 출고가별 보조금 지원 퍼센테이지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정부에서 지원받는 보조금 650만원 안에는 성능보조금,배터리안전보조금,보급목표이행 보조금,충전인프라 보조금,혁신기술 보조금 이렇게 총 5가지가 있는데 아래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성능보조금
- 성능 보조금은 더 긴 주행거리를 가진 전기차나 더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는 차량에 대해 더 많은 보조금을 제공합니다.
- 성능 보조금은 중대형 차량은 최대 400만원, 경소형 차량은 최대 300만원, 초소형 차량은 250만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배터리안전보조금
- 배터리안전 보조금이란 국제 표준 OBD를 장착한 차량에 20만원 지급합니다.
- OBD란, 전기차를 포함한 모든 현대시대 자동차에 통합된 컴퓨터 시스템으로 차량의 다양한 시스템과 센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 단, 테슬라에는 장착이 되있지 않아 배터리안전보조금 20만원을 받지 못합니다.
- 정부는 성능 보조금과 배터리 안전 보조금을 합한 값에 배터리 효율계수,배터리환경성계수,사후관리계수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아래 글을 통해 배터리 효율계수,배터리환경성계수,사후관리계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배터리 효율계수란?
완충시 주행가능거리에 따른 계수 입니다.
2.배터리 환경성계수란?
차량의 배터리 재활용성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합니다. 배터리 종류에는 LFP , NCM 두가지 형태가 있는데, 재활용 가치가 적은 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는 보조금을 덜 지급하겠다는 항목입니다.
3.사후관리계수란?
얼마나 AS에 신경쓰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전 권역 8도에 직영 A/S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만 차등계수 1.0을 적용하며 1.0~0.7 까지 4등급으로 나눠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4.보급목표이행 보조금
보급 목표 제작사로 일정 수준 달성시 140만원 지급하는 보조금입니다.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이 보조금을 가져갔지만 테슬라가 이 보급목표 이행보조금을 받아가지 못했습니다.
5.충전인프라 보조금
3년내 표준 급속충전기를 일정 수준 이상 설치시 보조금입니다.
100기이상 설치시 20만원 지급
200기 이상 설치시 40만원 지급
6.혁신기술 보조금
V2L 지원시 20만원 , 고속충전 가능한 전기차일 경우 추가로 30만원을 지급해
총 50만원의 보조금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조금 구성에 대해 알아봤는데 아래 표로 총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7.지자체별 보조금 확인
지차체별 보조금이 얼마인지는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홈페이지를 통해 알수있습니다.또한 차종별로 보조금이 얼마인지도 알수있습니다.어느 지역에서 출고 할건지 또 어떤 차량을 구매할 예정인지는 아래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신청 접수 (출고·등록 10일 이내)
ev.or.kr
이렇게 제가 전기차 보조금 지원에대해 정리하면서 정말 복잡하고 따질것도 많아서 이해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구매하는데 따져봐야 할 항목이 최소 일곱가지 이상으로 보이는데 따지고 보니 테슬라는 보조금을 받기가 어렵고 현대 기아차는 보조금을 많이 받을 수 있게끔 되있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